민주노총이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최종 지지후보 선정을 위한 1차 심의에 들어갔다. 또 5.1 노동자대회를 기점으로 ‘6.2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조합원 참여운동’을 시작하는 등 본격적인 지방선거 총력체제에 돌입했다.

 

민주노총은 지난 3월 24일 중앙집행위원회를 통해 ‘진보정당 통합후보’, ‘반MB연대 단일후보’ 지지방침을 확정한 바 있다. 민주노총은 당시 민주노동당-진보신당-사회당 등 진보정당 단일후보를 공식 지지후보로 선정하되, 지역별로 지역사회 및 진보정당 등의 동의로 선출된 ‘반MB연대 단일후보’ 중 민주노총의 요구를 실현할 수 있는 후보도 지지 대상으로 삼았다.

 

수도권 야권연대 결렬, 진보신당의 독자노선 고수 등 지지후보 선정에 변수가 생겼지만 각 지역별 단일화 협상이 계속되고 있어 최종 지지 후보 확정은 5월 4일 2차 심의를 거친 이후 확정된다. 민주노총은 지방선거 후보 등록 기간인 5월 14일 이전에 최종 지지 후보를 확정.발표한다는 방침이다.

 

4월 14일 기준으로 현재까지 민주노총에 제출된 가맹조직 및 산하조직의 추천 후보는 지방선거, 교육감 선거를 포함해 204명. 민주노총의 지지후보가 113명, 민주노총 출신이거나 현직 후보는 99명이다.

 

양측의 중복 추천 후보는 8명이었다. 교육감 선거 관련 후보는 정만진 대구 후보, 박종훈 경남 후보, 정만채 전남 후보, 박영관 부산 후보 등 4명이었으며 교육위원은 제주2선거구 이석문, 진주.산청.거창.함양.합천 조재규, 창원.밀양.창녕 조형래 등 3명이었다. 지방선거와 관련해선 광역단체장 후보 8명, 기초단체장 후보 14명, 광역의원 42명, 기초의원 142명이었다.

 

또 마지막까지 경합을 벌여야하는 동일선거구 복수출마 후보는 현재까지 한 곳이지만 5월 4일 2차 추천이 마무리되면 그 수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접수된 추천후보를 가맹조직별로는 금속노조가 18명으로 가장 많았고 보건의료노조가 7명, 사무금융연맹이 1명으로 뒤를 이었다. 산하조직별로는 전남본부가 41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북본부 33명, 부산본부 32명, 인천본부 22명, 경남본부 18명, 서울본부 11명, 충남본부 10명, 제주본부 9명, 대구본부 8명이었다. 경기, 강원, 광주, 충북, 경북, 울산, 대전본부 등은 미제출 상태라 집계에서 제외됐다.

 

정당별로는 민주노동당이 167명, 진보신당이 36명, 무소속 4명이었다.

 

주요 출마 후보를 살펴보면 현애자 전 국회의원이 제주도지사 후보로 나섰고 문성현 전 민주노동당 대표는 통합창원시장 후보로 출마했다. 또 김형탁 전 민주노동당 대변인은 진보신당 소속으로 과천시장 후보로, 손영태 전 공무원노조 위원장은 안양시장 후보로 나섰다.

 

민주노총은 전략지역구 선정 작업 진행과 동시에 조합원 참여운동도 시작했다. 조합원 참여운동의 핵심은 최대한 많은 조합원들의 투표 참여 독려. 민주노총은 이를 위해 이미 지난 3월부터 진보정당 대단결, 대통합 촉구 10만 조합원 선언을 조직해왔고 5월 1일 노동자대회에서 대규모 조합원 투표 참여 선언 이후 상근간부, 정치담당 간부, 당원, 현장 활동가로 구성된 지역별 6.2정치실천단 중심으로 △1조합원 1교육 받기 운동 △대대적인 연고자 찾기 운동 △세액공제 사업 △당원확대사업을 전개하기로 했다.

 

민주노총은 또 투표율 제고 방안으로 △투표일 유급휴일 지정 △건설현장 휴무 통한 투표권 보장 △사전투표제 도입 △부재자 투표 제도 확대 및 개선 등의 대정부 요구안을 확정짓고 이와 관련한 1인 시위, 퍼포먼스 등 다양한 활동을 벌여나간다는 방침이다. 선거운동이 시작되는 5월 20일 이후에는 국민주권운동본부의 투표참여 촛불집회에 적극적으로 연대키로 했으며 조합원 2천명 이상의 대단위 사업장을 중심으로 부재자 투표소 설치에 적극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최병성 객원기자